최근 패키징 업계에서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자동화 기술이 빠르게 들어서고 있다. ©중기이코노미
“대부분의 물류센터가 외곽에 위치해 있다 보니 사람을 구하기 힘들어요. 여기에 힘든 일을 하지 않으려는 분위기까지 가세해 인력난은 더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1994년 창립해 전자동 맞춤형 포장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는 ㈜솔버스(SOLVUS) 관계자의 말이다.
포장은 우리가 먹고, 마시고, 입고, 즐기는 모든 소비의 영역에서 빠질 수 없는 분야이지만, 해결해야 할 수많은 문제가 있다. 특히 친환경 이슈와 인력수급 문제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지난 4월23일부터 4일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제포장기자재전 2024(KOREA PACK 2024)는 이전과 달라진 패키징 관련 기술들을 한데 모았는데, 그중에서도 두드러지는 점은 친환경 이슈로 인해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혁신했고, 인력난에 허덕이는 업계 특성을 고려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자동화 기술이 빠르게 들어서고 있다는 것이다.
‘환경·인력수급’ 고민…‘수작업→자동화’ 효율성 UP
포장의 역할은 다양하다. 제품의 보호는 기본이고,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소비를 촉진하기도 한다. 식품과 제약류 포장은 제품의 위생과 안전을 도모하는 데 큰 역할을 하기도 한다. 문제는 어떻게 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느냐다.
㈜솔버스(SOLVUS)는 전세계 박스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 이탈리아의 고가 장비를 들고나왔다. 박스 자동 포장시스템(Box on Demand)이 콘셉트인 이 장비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게 박스를 만들고, 포장하기 때문에 ‘과대 포장’ 이슈로부터 해방해 준다.
솔버스의 박스 자동 포장시스템은 친환경 이슈와 인건비 문제를 해결해 준다. ©중기이코노미
하희수 상무이사는 중기이코노미와의 인터뷰에서 “상품 사이즈를 자동으로 스캔해 상품의 가로, 세로 높이를 측정해 준다”며, “대개 박스에 빈 공간이 있으면 뽁뽁이나 종이 같은 완충재를 넣는데, 이 장비로 포장을 하면 상품 사이즈에 딱 맞게 만들어주니까 그럴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점은 과대 포장 이슈에서 벗어나게 해주고, 박스의 크기도 줄게 해 자가 트럭으로 배송 시 100개 실을 것을 140개 정도 실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운송비 다음으로 포장 단가를 많이 차지하는 골판지 자재의 원가도 낮춰준다. 자재 원가에 인건비가 포함되는데, 인원이 그만큼 최소화되므로 포장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 상무는 “하루에 8~10시간 작업한다고 했을 때, 수동 포장할 때보다 8~10명의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며, “아마존만 하더라도 이런 장비가 100여대 설치돼 있고, 전 세계적으로 500여대 이상 운용되고 있다. 국내에는 2019년 첫 설치해 현재 8대 들어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워낙 고가의 제품이라 중소업체에서는 도입하기 힘들 것”이라며, “온라인 서점, 패션업계 등 대형 이커머스가 주로 사용하는데, 적어도 하루에 1만건 이상의 포장을 하는 업체여야 ROA(총자산수익률)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